앉아있는 시간대비 효율성이 떨어진다고 생각되어 다시 java를 정리하기로 했다
과제에 대한 이해도가 부족하고 지금 주어진 과제를 해결할수가 없어서...
이지업강의를 들으며 java를 다시 공부했다
먼저 Spring의 개념에대해 정리했다
Spring
Browser
App. -> Client. ——— Spring. ———DB
db와 클라이언트 사이에 연결시켜주는 프레임워크가 spring
Spring 안에서의 3단계가 Presentation / Business / Data
즉 controller/ Service / Repository영역으로 나뉜다
각계층별로 통신을 하는게 바로 Layered Architecture
보통 CRUD서비스를 만들때 만드는 패키지
: Entity, Dto , Repository, Service, Controller
Lombok사용법과 각 Annotation의 역할을 알고 공부해보쟈
Java의 메서드와 변수들의 명칭에 대해 다시 정리했다
일반변수와 레버런스 변수
일반변수 : java에 이미 크기가 정해져있는 변수( 컴파일시점에 크기를 알수있음), 값을가지고있음
레퍼런스(참조)변수 : 크기가 정해져있지 않는 변수(내가 만든 커스텀 자료형(Class)의 변수 (컴파일시점에 크기를 알수없음. 실행해봐야 크기를 알수있음) , 주소(Poniter)를 가지고있어서 heap공간으로 와서 값을 알수있음
- (타입 변수;)= Ex) int num; -> ‘변수를 선언하다’
메서드Method
Method : 어떤 class 의 ‘행위’
<메서드 Stack 메모리> 매우중요!
java실행순서가 중요한데
순서는 다음과 같다.
[.java(인간 코드)파일] -> [컴파일] -> [.class파일(JVM 코드)] -> JVM에서 1).class로드
2)static찾기
3)main메서드 실행
순으로 실행된다
그리고 해당메서드가 실행되면 1) Stack으로 쌓이고 2)해당메서드의 Queue가 열린다!
4)main이 종료되면 java프로그램이 종료됨
지역변수와 전역변수
- 지역변수 : Stack메모리에 저장된 변수 (=메소드 내부 변수)
- 전역변수 : Heap, Static메모리에 저장된 변수 (=클래스 내부 변수, static으로 지정된 변수)
Static메모리에 뜬 전역변수는 main메서드가 시작되기전에 할당되고 프로그램종료시 사라짐
Heap메모리에 뜬 전역변수는 new할때 메모리에 할당, 더이상 참조하지 않을때 자동으로 사라짐
Stack메모리에 뜬 지역변수는 메소드 실행시 메모리에 할당되고, 메소드 종료시 사라짐
메서드의 리턴
메서드 : 어떤 클래스의 행위
Void : 리턴하지 않겠다 라는뜻
Static int add() { //여기서 add()메소드 옆에 int는 리턴할때 int로 리턴한다는 뜻
int sum = 5+6;
return sum;
}
그래서 return sum이 int 값이기 때문에 sum은 add메소드를 실행한곳에 int 11로 리턴됨
메서드의 매개변수와 인수
메서드는 다음과 같은 형태로 이루어져있다
(접근제한자) (static or default) (리턴타입) (메소드이름) (parameter = 매개변수){}
매개변수 : 함수 선언의 변수
인수 : 매서드로 보내는 실제 값, 실제 데이터
Todo.
1. 자바 연산자에 대해서는 익숙하다고 생각되어 OOP 문법에대해 더 정리해야겠다.
2. JWT 이번주안에 다시 보기
3. 인프런 Spring 입문강의 보기
4. 오늘 CRUD로 Board만들어보기 -> 궁금한거 매니저님이나 은창님께 여쭤보기
'항해99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항해99] WIL 04 CORS,관계형 데이터 모델링 (0) | 2022.08.15 |
---|---|
22.8.11 TIL (0) | 2022.08.11 |
[항해99] WIL.03 MVC, ORM, SQL에 대해 알아보자 (0) | 2022.08.07 |
항해99 WIL.3 [Spring]IoC,DI,Bean 개념 및 회고 (0) | 2022.07.31 |
항해99 WIL.2 객체지향 프로그래밍이란?(OOP) (0) | 2022.07.24 |